두부 효능과 성분 간략하게 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숙한 두부 효능과 성분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두부는 다양한 요리에 자주 많이 사용되는 재료 중에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아마 많은 분들께서도 좋아하시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찌개나, 국, 전골 등등에는 없어서는 안 될 만큼 중요한 재료인 두부는 우리 몸에 어떤 긍정적인 효과를 줄까요? 두부 효능 및 성분에 대해 그리고 맛있는 두부 고르는 방법까지 하나씩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두부 효능 및 성분 한 줄 요약
요즘에는 전국에 명산지가 있어 하얀색 두부는 기본이고, 황토색이 있는 두부까지 나옵니다. 특별하게 제철은 없으며, 연중 드시고 싶을 때 언제든 먹을 수 있는 식재료입니다.
- 소화가 잘되고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합니다.
- 이소플라본이 중성지방을 낮춥니다.
-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칼슘이 풍부합니다.
- 레시틴 성분은 두뇌발달과 기억력 향샹에 도움을 줍니다.
- 트립토판이 들어 있어 불면증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작용을 하며,
- 항산화물질로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풍부한 단백질과 포만감이 크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최적의 식품입니다.
두부의 원료가 대두이므로, 영양성분은 대두와 거의 같습니다.(대두는 다음 시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아미노산 밸런스가 좋은 단백질과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 콜린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두부의 좋은 점은, 대두보다 소화 흡수가 좋고 요리법도 다양해서 손쉽게 섭취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소플라본도 함유되어 있어 갱년기 여성이나 골다공증이 있는 분들에게 권할만한 식품입니다. 이소플라본에는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추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항산화 작용도 하기 때문에 세포의 산화를 억제해 동맥경화와 노화 방지도 돕습니다. 골다공증 예방에는 응고제에 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부는 87%가 수분으로 미네랄은 만들 때 응고제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최근에는 칼슘이 적고 마그네슘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원재료명을 확인하시고 드시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맛있는 두부 고르는 방법 및 보관방법
▶ 맛있는 두부 고르는 방법
- 항상 유통기한을 확인하셔야 하며, 유통기한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이 좋습니다.
- 보통 하얗고 윤기가 있으며, 모양이 일그러져 있지 않은 것이 맛있습니다.
▶ 보관하는 방법
- 두부를 개봉한 것은 용기에 물을 넣고 랩을 씌워 냉장고에 보관하시면 좋습니다.
두부 맛있게 먹는 요령 및 좋은 음식 궁합
▶ 맛있게 먹는 요령
- 요리에 따라서 물기를 빼줍니다.
- 튀김용 두부는 베에 싸서 20분 정도 그대로 두면서 물기를 빼주고,
- 볶음용이라면 두부 위에 무거운 것을 올려놓아 물기를 확실히 빼주면 더 맛있습니다.
- 전골이나 조림등에 사용하시려면 두부의 표면을 구운 시기 바랍니다. 이유는 잘 부서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 함께 드시면 효과가 배가 되는 음식
- '된장'과 함께 드시길 추천드립니다.
- 두부와 된장은 이소플라본이 많아 유방암이나 폐암, 전립선암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된장의 염분에는 신경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두부 효능과 성분을 마치며
지금까지 다양한 두부 효능 및 성분 그리고 기타 등등의 정보를 살펴보았습니다. 자주 드시고 우리에게 친숙한 재료라서 이미 다들 알고 계실 수도 있으시기라 생각됩니다. 이미 숙지하고 계신 내용들은 앞으로도 기억하시면서 두부를 드시면 좋을 것 같고, 혹 놓치신 부분이 있으시다면 챙겨서 다음에 두부를 드실 때 상기하시면 더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 시간에 또 다른 쉬운 건강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이상 두부 효능과 성분을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쉽게보는 효능, 성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토 효능 및 성분 쉽게 보기 (0) | 2022.02.09 |
---|---|
옥수수 효능 및 성분 간략하게 보기 (0) | 2022.02.07 |
표고버섯 효능과 성분 쉽게 정리 (0) | 2022.02.03 |
쉽게 보는 매실 효능 및 성분 (0) | 2022.02.02 |
샐러리 효능과 성분 살펴보기 (0) | 2022.01.30 |
댓글